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독교 역사: 기독교의 뿌리(2-2)

배움

by ♡Beautiful♡ 2025. 4. 11. 00:00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반응형
728x90

[2] 기독교 역사: 기독교의 뿌리(2-2) 

2. 구약성서와 신약성서의 중간 시기

 

1) 유대인들의 반란

소수의 부유한 유대인들은 이러한 변화를 환영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유대인들은 안티오쿠스4세 때에 혹독한 경험을 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예루살렘 성이 무너졌고 많은 유대인들은 박해를 받거나 살해되었다. 성전은 이방종교에게 빼았겼고, 유대교는 법으로 금지되었다. 이러한 억압으로 누적된 불만은 마침내 대중적인 반란으로 비화되었다. 마티아스라는 사제는 성전에서 이방교도들이 제사를 지내도록 허가해 준 궁정의 장교를 살해하였다. 마티아스와 그의 다섯 아들들은 그 지역을 빠져나가 곧 자신들에게 동조하는 사람들을 규합하여 게릴라를 만들었다. 마티아스가 세상을 떠난 후 그의 아들 유다가 반란을 지휘하였다. 사람들은 유다를 "마카비(망치)"라고 불렀다. 그가 적들을 신속 정확하게 궤멸시키는 군사적 본능이 탁월하기 때문이었다.

기원전 165년에 일어난 마카비 반란은 유대인들에게 종교적 자유를 되찾아 줬다. 예루살렘 성전에서 3년 전부터 거행되던 우상숭배는 중지됐고, 다시금 하나님에게 제사를 드릴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사건은 오늘날도 유대공동체에서 하누카(봉헌의 축제)라는 이름으로 기념되고 있다. 하스모니안이라고도 불리는 마카비의 추종자들은 무능, 부패, 그리고 내란이 발생해서 국가의 내적인 힘이 소진될 때까지 거의 1세기 동안이나 팔레스타인을 다스렸다.

기원전 1세기 중반 무렵 유대는 풍전등화의 상황이었다. 기원전 63년 로마 장군 폼페이는 예루살렘을 정복했고, 얼마 후 로마가 이 지역 전체를 장악하였다. 기원전 47년 파괴와 잔학함을 즐기는 헤롯이라는 젊은이(후에 헤롯 대왕이라고 불림)가 갈릴리 지역의 행정관이 되었다. 그는 10년이 채 안 걸려서 자신에게 저항하는 반대 세력들을 피의 숙청으로 제거한 후 이 곳의 왕이 됐다.

팔레스타인 역사에서 이 시기는 종교적 동요를 겪던 시기였다. 당시 팔레스타인에는 다섯 개의 중요한 종교 그룹들이 있었다. 이들은 그리스도의 삶과 초대 교회의 발전에 나름대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들은 바리새인들, 사두개인들, 엣세네파, 헤롯당원들, 그리고 젤롯당원들이다.

이들 중 세 그룹은 종교적이라기보다 정치적 성격을 띠고 있었다. 사두개인들과 헤롯당원들은 전형적으로 부유하고 귀족적인 집단이었다. 사두개인들은 성전, 법률, 종교, 행정 분야에서 유대인 최고 의결기관이었던 산헤드린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헤롯왕 주변에 몰려들었던 헤롯 당원들은 사두개인들보다 로마 정부와 더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기득권을 유지하는 데 혈안이 되어 있었다. 사두개인들과 헤롯 당원들은 모두 공동체 내에서 엘리트로서의 지위를 고수하려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없었다.

젤롯당원들은 이들과는 정반대의 정치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갈릴리 사람 유다에 의해서 창시된 젤롯 당 당원들은 로마는 피로 망할 것이며, 팔레스타인 유대인들의 권위는 회복될 것이라고 역설하였다.

바리새인들과 엣세네파는 전형적인 종교집단이었지만 그 내용은 상극이었다. 바리새인들은 극단적으로 경건하고 율법적이어서 스스로를 의롭다 여기는 그룹이었다. 그래서 바리새인들은 율법 해석에서 뒤지고 종교제의를 제대로 지키지 못하는 사람들을 철저히 멸시하였다. 그들은 토라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믿었다. 예수는 여러 차례 이들을 가리켜 위선자요, 율법에 노예가 된 자들이라고 정죄하였다. 엣세네파는 토라를 철저하게 따른다는 점에서는 역시 극단주의자들이었지만, 철저히 사회로부터 격리된 채 기도와 학문에 생애를 바쳤기 때문에 유대 공동체의 일상적 삶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출처: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기독교 역사

 

[2] 기독교 역사: 기독교의 뿌리(2-3) 

https://beautifulll.tistory.com/102

 

기독교 역사: 기독교의 뿌리(2-3)

[2] 기독교 역사: 기독교의 뿌리(2-2) 2. 구약성서와 신약성서의 중간 시기 2) 로마의 융성과 힘 그리스도가 태어나기 수십 년 전에 팔레스타인 땅에서는 종교적·정치적 충돌이 자주 있었다.

beautifulll.tistory.com

 

728x90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